정동영 통일부 장관, 현충원 방명록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8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참배한 뒤 작성한 방명록.사진=연합뉴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28일 서울현충원 참배 후 기자들과 만나 다음 달 예정된 한미연합연습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를 조정하겠다는 방침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럴 생각이 있다”며 7월 29일 국가안보회의(NSC, National Security Conference) 실무조정회의에서 연기와 축소 등 조정 방향을 논의한 뒤 구체적 입장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훈련 시점이 보름여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조정이 어렵다는 지적에 “우리 정부의 의지에 따라 조정은 충분히 가능하지 않나”라고 답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의 정책 기조는 윤석열 정부와 다르다”며 “한미 합동군사훈련의 기조도 신중하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김정은 동생 김여정은 담화에서 “이재명 정부가 한미동맹에 대한 맹신과 우리와의 대결기도는 선임자와 조금도 다를 바 없다”며 “남쪽 국경너머에서는 침략적 성격의 대규모합동군사연습의 연속적인 강행으로 초연이 걷힐 날이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 장관은 이에 “과거 거친 담화에 비해 순화된 표현”이라며 “남북 간 신뢰 부족과 불신의 벽을 다시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정 장관은 통일부에 민간의 대북 접촉을 신고제로 전면 허용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법대로 신고만 하면 무제한 접촉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대북 정책의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사회적 대화기구’를 설치하고, 윤석열 정부에서 축소된 통일부 정원을 복원하며 남북회담사무국과 교류협력국을 부활시키는 조직 개편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