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이 오는 9월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기념행사 열병식'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중국 외교부가 28일 밝혔다.
이번 방문은 김정은이 다자 무대에 처음으로 참석하는 것이며, 북한과 중국, 러시아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는 첫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는 이날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전승절 80주년) 기념활동' 준비 상황 브리핑에서 "시진핑 주석의 초청으로 26명의 외국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뇌가 기념 활동에 참석한다"며 김정은 등 참석자 명단을 발표했다.
훙 부장조리는 "중국과 조선(북한)은 산과 물이 이어진 우호적 이웃"이라며 "우리는 김정은 총서기(총비서)가 중국을 방문해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반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활동에 참석하는 것을 열렬히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고난과 역경의 전쟁 시기, 중조 양국 인민은 서로 지지하고 함께 일본 침략에 맞서 세계 반파시스트전쟁과 인류 정의 사업의 승리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면서 "중조의 전통적 우호를 잘 지키고 공고히 하며 발전시키는 것은 중국 당정의 굳은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훙 부장조리는 "중국은 조선과 함께 교류·협력을 계속 강화하면서 사회주의 건설을 추진할 용의가 있다"며 "이 길에서 함께 손잡고 앞으로 나아가면서 지역의 평화·안정을 촉진하고 국제적 공평·정의를 지키는 사업에서 긴밀히 협조해 중조 전통적 우호의 새로운 장을 써 내려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북한 조선중앙통신 역시 중국의 참석자 공개와 비슷한 시각에 김정은이 시 주석 초청으로 중국 전승절 80주년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곧 중국을 방문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측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해 베트남과 라오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파키스탄, 네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벨라루스, 이란 등의 정상이 이번 행사에 참석하기로 했다.
한국의 우원식 국회의장과 미국·영국·프랑스 등 각국 인사도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자 명단에 올랐다.
북한 김정은의 중국 방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1기 시절 남북·북미 대화 국면이던 2018년 세 차례, 2019년에 한 차례 등 모두 네 차례 있었다.
북중 양국은 수교 75주년을 맞은 지난해 북러 밀착 속에 공식 교류가 뜸해지면서 관계가 소원해졌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으나, 올해 초부터 다시 교류에 시동을 걸었고 결국 6년 만에 김정은의 5차 방중이 성사되게 됐다.
이번 방중이 성사된다면 김정은으로서는 다자 무대 첫 참석이라는 점에서 국제 사회의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의 과거 친분 관계를 고려할 때, 북한이 미국과의 소통 창구를 여전히 유효하게 보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도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