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 기념촬영
28일 인천국제공항공사 항공교육원에서 열린 2025 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에서 장동혁 대표, 송언석 원내대표, 나경원 의원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초강경 지도부' 출범과 동시에 대여(對與) 투쟁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고 있다.
국민의힘은 최근 자신들이 추천한 인권위원 선출안 부결과 이른바 '더 센' 특검법 개정 추진 등 더불어민주당이 협치 의지가 없음을 드러냈다고 판단, 더욱 강경한 투쟁으로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의 입법 독재에 맞서겠다는 전략을 분명히 했다.
국민의힘은 28일 오후 인천공항공사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1박2일 연찬회 첫날, 내부 통합을 강조하며 이재명 정부를 향한 대여 투쟁의 전의를 다졌다.
장동혁 대표는 "연찬회가 이재명 정권과 싸우기 위해 전쟁터로 나가는 출정식이 됐으면 좋겠다"고 역설하며 투쟁 의지를 강하게 표명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하나로 똘똘 뭉쳐서 집권 여당의 일당 독재와 입법 폭주에 맞서 싸워야 한다"면서 "교육부 장관과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포함해 어떻게 대여 투쟁을 할 것인지 깊이 있게 논의해달라"고 의원들에게 당부했다.
유상범 원내수석부대표 역시 "선수(選數)와 관계없이 저희가 전투 모드로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하며 전면전을 예고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상임위원회별 분임토의, 시도별 간담회를 통해 구체적인 대여 투쟁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국민의힘은 전날 민주당 의원들의 반대 표결로 이상현·우인식 인권위원 선출안이 부결되자 국회 일정 '보이콧'을 선언하며 강경 대응에 나섰다.
국민의힘은 인권위원 선출 부결을 개별 안건 부결이 아닌 제1야당의 지위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심각한 '야당 무시'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강력한 투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민주당의 3대 특검법 일방 추진을 저지하기 위해서라도 투쟁 강도를 더욱 끌어올려야 한다는 것이 당내의 주류 의견이다.
특검법이 본회의에 상정될 경우 9월 정기국회는 물론 10월로 예정된 국정감사까지도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강경한 기류마저 감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민의힘이 이날 특검법 개정안을 심사하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간사에 통상 초·재선 의원 대신 5선 나경원 의원을 내정한 것도, 법사위원장이 민주당 6선 추미애 의원인 점을 고려한 '맞불 전략'으로 대여 전투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당내에서는 정기국회 개원식과 인사청문회 불참, 장외 농성 등이 '투쟁 방안'으로 우선 거론되고 있다.
전날 의원총회에서 송언석 원내대표가 6년째 이어진 '패스트트랙 사건 재판' 출석으로 개원식에 참석하지 못한다고 밝히자, 소속 의원 전원이 참석하지 말자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 달 초 예정된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불참은 물론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일정도 잡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도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장동혁 대표가 전당대회 기간 강조했던 '우파 시민과의 연대'를 바탕으로 거리로 나가 보수 단체 및 시민들과 함께 투쟁 수위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나경원 의원은 이날 채널A 유튜브에 출연하여 "민주당이 다수 의석으로 힘자랑한다면 우리는 국회 밖으로 나가야겠다고 (의원들이) 말했다"고 전하며 장외 투쟁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민주당이 과반 의석수를 바탕으로 단독 국회 운영이 가능한 상황에서 국민의힘의 국회 보이콧이 장기화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시각도 존재하며, 상임위나 본회의 불참이 국회라는 '전장'에서 여론전을 펼칠 창구를 잃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