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Federal Reserve System)가 17일 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연준은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회의를 마무리하며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조정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 0.25%포인트 인하 이후 5번 연속 동결을 이어오다 9개월 만에 단행된 인하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 출범 이후 첫 금리 인하다.
한미 기준금리 추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7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했다. 연준은 이날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연준은 발표문에서 "최근 지표들은 경제 활동의 성장이 올해 상반기에 완화됐음을 시사한다"며 "일자리 증가는 둔화했고, 실업률은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인플레이션은 상승했으며, 다소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경제 상황을 진단했다. 이어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태"라며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증가했다"고 금리 인하 이유를 설명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했던 0.50%포인트 이상의 대폭 인하(빅 컷)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번 금리 결정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해 16일 취임한 스티븐 마이런 신임 연준 이사(국가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 겸임)가 참여했으며, 그는 0.50%포인트 인하에 투표했다.
나머지 FOMC 위원들은 0.25%포인트 인하를 지지해, 지난 7월에 이어 두 차례 연속 만장일치 결정이 나오지 않았다.
7월 FOMC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 때 임명한 두 위원이 동결 대신 0.25%포인트 인하를 주장한 바 있다.
미 FOMC 위원 기준금리 전망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7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했다. 연준은 이날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연준은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의 중간값을 3.6%로 제시했다.사진=연합뉴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해임한 리사 쿡 이사는 15일 항소법원 판결에 따라 이사직을 유지하며 이번 회의에 참석했다.
연준은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 중간값을 3.6%로 제시해, 6월 전망치 3.9%에서 0.3%포인트 낮췄다. 이는 연내 0.25%포인트씩 두 차례 추가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다.
남은 FOMC 회의는 10월 28~29일과 12월 9~10일이다.
점도표에 따르면, 연준 위원 19명 중 12명이 연내 금리 인하를 예상했으며, 2명은 한 차례, 9명은 두 차례(0.50%포인트) 인하를 전망했다.
이 중 1명은 연말 기준금리를 2.75~3.00%로 예상해 추가 1.25%포인트 인하를 내다봤다.
이번 인하로 한국(2.50%)과 미국 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 1.75%포인트로 좁혀졌다.
연준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상향 조정했으며, 이는 6월 전망치 1.4%에서 0.2%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개인소비지출(PCE,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가격지수 상승률은 3.0%, 근원 PCE 가격지수(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은 3.1%, 실업률은 4.5%로 6월 전망치를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