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로고.사진=연합뉴스

통일부와 행정안전부는 통일부 직제 개정안 협의에서 통일부 정원을 현재 533명에서 약 600명 규모로 확대하기로 잠정 결정했다.

이는 18일 복수의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 시기인 2023년 조정된 정원 81명의 80%가량이 회복되는 수준이다.

고위공무원단 직위는 실장급 1개를 포함해 2~3개를 증원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예고한 대로, 윤석열 정부에서 통폐합된 남북 대화와 교류·협력 분야 조직이 복구되고, '사회적 대화'를 위한 기구가 신설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 장관은 앞서 윤석열 정부에서 축소된 통일부 정원을 원상 복구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수 차례 밝힌 바 있다.

통일부와 행정안전부 간 조직 개편안 협의가 마무리되면 기획재정부와 예산 협의 등을 거쳐 다음 달 직제가 개정될 전망이다.

지난 2023년 7월 윤석열 전 대통령이 통일부를 '대북 지원부'라고 질타한 이후, 통일부는 남북 교류협력 담당 실·국 4개를 1개국으로 통폐합하고 정원의 15%를 축소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이 개편으로 고위공무원단 직위 5개가 포함된 81명 정원이 감원됐으며, 통일부의 대북 교류 기능이 크게 위축됐다.

이번 확대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통일부의 역할 강화를 위한 조치로, 남북 관계 복원과 평화 프로세스 재개에 초점을 맞춘다.

통일부는 남북 대화 채널 복원과 교류 협력 기능을 강화하며,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 소식통은 "축소된 조직을 회복함으로써 통일부의 전문성을 되찾고, 한반도 평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통일부 직제 개정은 내년 예산 편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