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방위 국감, 설전 벌이는 여야 의원들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우영 의원의 질의 중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의 문자메시지 공개와 관련해 여야 의원들이 설전을 벌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14일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 간 고성과 욕설이 오가는 파행이 거듭됐다.

더불어민주당 김우영 의원이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으로부터 받은 문자 메시지를 공개하며 '사적 보복'을 주장했고, 이에 박 의원이 욕설과 함께 김 의원의 과거 행위를 폭로하면서 충돌이 격화됐다.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정감사 도중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으로부터 받은 문자 메시지를 박 의원의 휴대전화 번호와 함께 공개하며, 자신이 "사적 보복을 당했다"고 주장했다.

공개된 문자 메시지에는 지난 9월 2일 "박정훈입니다. 전화 부탁드립니다", 3일 뒤인 5일 "에휴 이 찌질한 놈아"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김 의원은 지난 9월 2일 과방위 전체회의에서 12·12 군사반란 관련 발언을 한 뒤 박 의원이 해당 문자를 보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이날 오전 박 의원이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더불어민주당) 관련 기자회견을 한 것을 거론하며 "공적인 국회 장소에서 공적 질문을 한 것을 가지고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저렇게 사적 보복을 하는 사람이 오늘 김일성 추종 세력과 대통령실이 연계됐다는 허위 사실을 발표했다"고 박 의원을 비판했다.

이에 박정훈 의원을 포함한 국민의힘 의원들은 거세게 반발했다.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은 "전화번호까지 공개해도 되냐"며 문제를 제기했고,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은 "'개딸'(민주당 강성 지지층)들이 좌표를 찍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신상 발언을 요청했으나,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동료 의원에게 욕한 부분은 사과하면 된다"며 발언 기회를 주지 않았다.

최 위원장은 국민의힘 의원들의 항의가 격렬해지자 오후 국감이 시작된 지 44분 만에 정회를 선포하기도 했다.

정회 중 박정훈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지난 9월 2일 더불어민주당의 법안 강행 통과에 항의했으며, 이후 갈등을 빚던 김우영 의원이 자신에게 욕설하며 멱살을 잡았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 과정에서 김우영 의원을 향해 "한심한 XX"라고 욕설하고 "나가"라고 소리치기도 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이 민주당 의원들에게 항의하자, 민주당 측에서는 "야당은 조용히 하고 폭력 유발하지 말라"는 발언도 나왔다.

이에 국민의힘 최형두 과방위 간사는 "(김우영 의원이) 멱살 잡은 것도 사과시켜야 한다"고 반박했으며,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어디다 대고 명령이냐"고 격렬히 항의했다.

같은 당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은 야당 의원들을 향해 "긴급체포하라"고 비꼬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공개된 문자 메시지 관련 설명하는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장 앞에서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가운데)이 과방위 국감 중 더불어민주당 김우영 의원이 공개한 자신의 문자 메시지와 관련한 설명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정감사는 정회 37분 만에 재개되었으나, 여야 간 공방이 지속되자 최민희 위원장은 8분 만에 다시 감사 중지를 선포했으며, 31분 후에 재개됐다.

박 의원은 김우영 의원도 자신에게 욕설이 담긴 문자를 보냈다고 주장하며 재차 신상 발언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최 위원장은 박 의원의 회의 중 욕설을 문제 삼아 퇴장을 명령했으나, 박 의원은 이를 거부하고 자리를 지켰다.

박정훈 의원은 개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다음날 상임위에서 김우영 의원은 15년 전 고인이 된 제 가족사진까지 화면에 띄우면서 제가 독재를 비판할 자격이 없다는 취지로 몰아세웠다. 심한 모욕감을 느꼈다"며 해당 문자를 보낸 이유를 설명했다.

아울러 김우영 의원도 자신에게 욕설이 섞인 문자를 곧장 답장으로 보냈다고 밝히며 "일방적으로 자기가 쓴 문자는 잘라내고 공개한 건 후안무치"라고 비판했다.

또한 "한 달 넘게 된 얘기를 꺼낸 것은 제가 김현지 부속실장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논란이 커질 것 같으니 국면을 돌파하려는 작당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국민의힘 미디어국은 취재진에 보낸 공지문을 통해 "김우영 의원의 행위는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한 실정법 위반이며, 의원 면책특권 범위도 벗어난 범죄행위"라고 규정했다.

이어 "당 차원에서 형사고발과 국회 윤리위원회 제소를 함께 추진할 방침"이라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