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지난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11월5일 수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동서양의 전쟁 결말)
성쇠치란(盛衰治亂, 편집자 해석: 나라의 흥망성쇠와 정치의 안정과 혼란)은 자고로(편집자 해석: 예로부터) 한 번씩 돌아다니는 이치이니, 이는 동서가 다를 것이 없는지라. 만국사기(萬國史記, 편집자 해석: 모든 나라의 역사 기록)를 볼진대, 동양에도 자래(편집자 해석: 예로부터 지금까지)로 전쟁이 무수하였으나, 백여 년래 구라파(편집자 해석: 유럽) 안의 전쟁을 볼진대, 아시아 주의 전쟁은 불과 잠시간 지나는 풍파뿐이라, 실로 태평무사한 구석에 한가히 잘 놀아 여러 백년을 지내였고, 유럽 주에서는 전쟁이 잠시도 쉬일 날이 없어 풍진(편집자 해석: 전쟁과 혼란 또는 세상의 어지러움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 속에서 늙어죽는 자 무수하다가, 지나간 백여 년에 나폴리 난리(편집자 해석: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을 지칭)에 유럽의 지방과 아프리카 북방과 아시아 서방 지경을 통히 흔들어 천하가 대란하게 만들므로, 그 참혹한 병화(편집자 해석: 전쟁의 참상과 피해를 뜻하는 말)는 다 말 할 수 없는 지경이라.
이 중에서 사람이 모두 깨여 다시 이런 일이 없이 영원히 태평할 도리를 각기 주장하므로 지혜가 열려, 사람이 귀천 강약(편집자 해석: 신분 높고 낮음과 힘의 세고 약함)을 물론하고 각기 제 권리를 지켜 남에게 잃어버리지 않을진대 남이 격외(편집자 해석: 범위를 벗어난 것, 예외적인 것)에 욕심을 부리지 못하나니, 각각 제 권리만 지킬진대 사람 사는 곳이 다 태평할 것이고, 나라가 다 열려 남의 무리함을 받지 않을진대 또한 강한 나라가 포학(편집자 해석: 잔인하고 난폭한 행위)을 방사(放肆, 편집자 해석: 제멋대로 함, 꺼리낌 없이 행동함)히 못할지니 세상이 다 평안하리라 하여, 서로 제 몸을 먼저 개명하여 남만 못한 염려가 없이 되므로, 지금은 세상에 태평 무사한 곳을 찾고자 할진대 유럽 주로 갈지로다.
아시아 주에서는 남들이 분주히 보내는 세월을 가만히 허비하고 아무 일도 못하여, 평안한 데서 병이 들어 졸지에 무슨 일이 있으면 두서를 차리지 못하게 되었으니, 오래 편안하면 위태한 일이 생김은 면하기 어려운 일이라. 서양에서 극한 동편으로 뻗어 나오게 개화가 되어 청국과 먼저 통상약조(편집자 해석: 무역 및 교역에 관한 약조)를 정할 때, 청국이 허락하지 않으려 하다가 영국과 법국(편집자 해석: 프랑스)의 두 번 난리를 만나고, 부득이 광동을 열어 통상 항구로 정하고 통상교섭(편집자 해석: 무역을 위한 외교적 협상)을 하는 체함(편집자 해석: 실질적인 교섭이라기보다 형식적으로 교섭하는 척함)이 이미 사십여 년 전이라.
그 후로 군제(軍制, 편집자 해석: 군대의 조직과 운영 체계)와 학교 등류를 변혁 한다 하나 모두 궤휼(편집자 해석: 속임수, 거짓, 기만)하고 완고한 풍습으로 실상 효험을 행하지 못하므로, 밖의 형세는 점점 밀어 들고 안 사정은 날로 말이 안 되는지라. 백성이 그 중에서 도탄(편집자 해석: 진흙과 숯불 속에 빠진 것처럼 극심한 고통과 궁핍을 뜻하는 고사성어)을 견디지 못하는 중에, 갑오년(甲午年) 일병(日兵, 편집자 해석: 일본군)의 난리를 만나 세상에 머리를 들지 못하게 된 이후로, 광서(光緖, 편집자 해석: 청나라의 광서제 1875~1908) 황제 폐하께서 천하 형세를 깨달으시고 경장(편집자 해석: 제도를 고치고 새롭게 바꾸는 것)을 힘쓰시다가, 마침내 서태후와 단친왕(端親王) 영록(榮祿) 등의 찬탈함을 당하여 옥체가 여러 번 위태하시나, 세상 공론이 없지 아니하므로, 어리석은 소견으로 전국 백성을 일으켜 외국인을 내치고 마음대로 하여 보러 하다가, 전국의 의화단(義和團, 편집자 해석: 1899~1901년 사이 청나라에서 일어난 반외세·반기독교 민중 운동 단체)을 일으켜, 각국의 연합군이 일시에 돌입하므로, 한두 집권한 자의 어두운 죄로 세계가 대란(大亂, 편집자 해석: 큰 혼란, 여기서는 의화단 사건과 그로 인한 국제적 군사 개입)한지라.
인하여 청국이 영구히 없어진다는 의론이 분분하여 토지를 분할한다 하므로 뉘 능히 그렇지 않다 하리요만은, 다만 세계의 걱정하는 바는, 청을 분할한 후에 각국이 좋게 흩어지지 못할 터이니, 이 뒷일이 더욱 위태하더니, 다행히 각국의 화의로 연합군이 물러가고 통상조약을 다시 정한지라.
이전 약조는 다 폐지되고 다시 새로 정하므로, 온갖 것이 동서양 큰 전쟁 기틀이 결말이 되는 날이라 각국 관민이 주야로 기다리며 의론이 무수하던 바라. 청국이 무양히 보전함은 세계의 다행일 뿐더러 대한에 더욱 만행(萬幸, 편집자 해석: 크나큰 다행, 큰 행운)이라. 그 약조 전폭을 내일 본보에 발간할 터이나, 대개지금은 동양이 소요할 시대라, 마땅히 태현무사(太賢無事, 편집자 해석: 지나치게 신중하거나 아무 일도 하지 않음) 도모치 말고, 용맹을 내어 나라 위엄을 떨쳐 가지고, 세계와 같이 균평한 형세를 만들어 영영 태평안락(편집자 해석: 세상이 평화롭고 사람들의 삶이 편안함)할 기회를 세울지어다.
(다음 호는 10월20일 제260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